오염원 그룹수계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원을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으로 구분하고 다시 이를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 매립계로 6개의 오염원 그룹으로 분류됩니다.
수질환경보전법에서 오염원(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근원)을 크게 점오염원, 비점오염원, 기타 수질오염원 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 법 제2조에서 점오염원이란 "공장, 건축물, 축사 등과 같이 일정한 지점으로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을 말하고, 비점오염원이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과 같이 불특정한 장소 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오염원"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공장을 예로 들어본다면, 공장에서 사용하고 버리는 공장폐수는 관거를 통해 일정한 지점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점오염원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공장안에 아무렇게나 쌓아놓은 원료, 쓰레기 위로 비가 내리면 오염 물질이 빗물에 섞여 하천으로 유입됩니다. 이렇게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경로가 일정치 않은 오염원을 비점오염원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오염은 주로 비가 올때 빗물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빗물오염이라고도 합니다. 생활하수나 공장폐 수, 축산폐수와 같은 점오염원은 일정한 곳에서 배출이 되기 때문에 한곳에 모아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시설,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처리해서 내보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빗물오염원은 한곳에 모아 처리할 수 없어 처리 시설을 거치지 않고 바로 하천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